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현대불교미술전 ‘공(空)’ – 글: 김은희

글: 김은희 (샤카디타 코리아 편집위원장)

지상에는 넓은 잔디밭이 있다.

화창한 봄날 서울역 근처에 있는 가톨릭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에 갔다. 가톨릭 박물관에서 화엄사 괘불을 전시한다는 소식을 들은 것이다. 화엄사 괘불은 2021년 2월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디지털 화면으로 본 적이 있었다. 그 동안 살면서 서울역 앞을 수없이 다녔지만 부근에 가톨릭 역사박물관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었다. 물어보니 2019년에 개관하였단다.

보통 사찰의 괘불을 외부에서 친견할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국립중앙박물관조차 힘들게 전시를 하는 실정이라 이 박물관 큐레이터의 능력이 굉장하다는 생각을 했다. 박물관은 외부에서 보기에는 좀 황당했다. 대개 과거에 지은 가톨릭 성당들이 외관상 높은 위용을 자랑하는데 중점을 두지만 이 박물관은 높은 빌딩 속에서 높이를 자랑하기보다는 지상은 공원으로 남기고 박물관은 지하로 들어가 있다.

화엄사 괘불, 전시장의 높이가 충분하지 않아 괘불을 다 펴지 못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화엄사 괘불과 함께 ‘공’을 주제로 한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함께 볼 수 있었다. 현대인들이 생각하는 ‘공’이란 무엇일까 하는 생각이 전시를 보는 내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다.

전시물과 함께 감명 받은 것은 박물관 자체이다. 이 박물관은 조선시대 이 자리에서 순교한 천주교인을 기념하는 박물관이지만 사실 관련 ‘유물’은 많지 않을 것이다. 무엇으로 이 박물관을 채울 것인가에 대한 많은 고민이 있었던 것 같다. 상설 전시관에는 어릴 때 국사 교과서에서 배웠던 조선 후기 사상의 흐름에 대한 책들을 전시를 하고 있다. 성리학, 실학, 동학, 그리고 천주교 관련 책들 – 『삼강행실록』, 『율곡집』, 『송자대전』, 『경세유표』, 『성호집』, 『반계수록』, 『지봉유설』, 『정감록』, 『동경대전』, 『기해년일기』 등 이름만 듣고 외웠던 책들의 실물을 보니 반가웠다.

또한 박물관 중앙에 자리한 ‘CONSOLATION HALL’은 정말 인상 깊다. 아날로그 시대의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이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보여주는 아주 좋은 예인 것 같다. 박물관이 단순한 지식을 얻는 장소가 아니라 위안을 받는 곳일 수도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이 홀에서는 미황사와 대흥사의 하루가 연속적으로 보여지고 있었는데 사면에 비치는 아름다운 사찰의 모습이 매우 압권이었다. 최근에 국립중앙박물관과 불교중앙박물관도 디지털 영상들을 전시에 도입하고 있지만 이 박물관은 아예 건축 때부터 준비를 한 것 같다.

수많은 보석 같은 유물을 간직하고 있는 불교계도 많은 보물들을 어떤 방식으로 사람들과 나눌 것인가를 고민할 때라고 생각한다.

‘만남’ 이수예

‘발아’ 권석만

CONSOLATION HALL

CONSOLATION HALL에서 미황사와 대흥사의 하루가 상영되었다.

상설 전시관에 있는 『송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