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불교예술]
실크로드의 과거와 미래를 이어주는 1800년 된 연운항의 불교 석상
800-year-old Buddhist Carvings in Lianyungang Bridge the Past and Future of the Silk Road
저자: 크레이그 르위스(Craig Lewis)
번역자: 정형은
원문 게재일자: Aug 23, 2017
출전: Buddhistdoor: 800-year-old Buddhist Carvings in Lianyungang Bridge the Past and Future of the Silk Road
중국의 항구도시 연운항(Lianyungang) 근처의 언덕에서 발견된 희귀한 불교 석상들은 동한(東漢25-220 CE) 시대의 석상들로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으로 유입된 불교의 역사적인 기록물이다. 석상들은 중국의 유산인 옛 무역루트와 21세기에 실크로드를 부활시키고자 하는현대 중국의 계획인 “일대일로”로 알려진 경제 및 무역개발계획을 이어주는 가교적 역할을 한다. 공망산은 강소성 동북부에 위치한 연운항의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지역 설화에 의하면 2,500년 전 공자는 언덕 정상에 올라 광활한 연안지역을 내려다보며 감탄했다고 한다. 그러한 연유로 “공자가 바라보다”라는 의미의 공망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언덕 정상에는 1,800년 전 바위에 새겨진 놀라운 석상들을 발견할 수 있다. 작게는 몇 센티미터에서 크게는 수 십 미터에 달하는 불교와 도교 형상들을 조합한 105개의 석상들은 중국에 전해지게 된 불 교의 기원을 짐작하게 한다.
“형상들의 위치와 새겨진 기법으로 보아 중국 한 대의 형식이 분명합니다. 깊은 양각과 볼록선을 이용한 음각의 기법이 사용되었습니다.”라며 하이조우구(해주구)의 관광부 부국장 가오휑 (高鳳)은 설명한다. 1980년 학자들은 공망(공망산)의 불교 석상들은 간스 지방에 위치한 돈황의 막고굴(莫高窟혹은천불동千佛洞)보다 대략 200년 전인 동한 말기에 새겨진 것으로 추정했다.
불교는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에 소개되기도 했으며 해상로를 통해 인도로부터 유입된 무역과함께 중국으로 전해졌다. 진나라(BCE 221-206)의 첫 황제인 진시황(BCE 247-220)은 불멸의묘약(불로초)을 구하기 위한 해상 원정대를 보냈고 이때 중국 동쪽으로부터 출발하는 해상 실크로드의 기틀을 마련한 해상길이 열렸다. 묘약을 찾기 위해 떠난 원정대들이 개척한 해상 통로를 따라 중국의 실크와 도자기를 실은 상선들은 연운항을 출발하여 일본, 한국, 인도, 스리랑카로의 무역이 가능해졌다. 멀게는 고대 아랍지역의 국가들과의 무역과 문화적 교류를 했고 중국으로 돌아오는 상선들은 외국의 문물과 철학뿐만 아니라 불교를 가져왔다.
불교 석상들의 다른 한쪽에는 돌로 장식된 코끼리 상이 네 개의 연꽃 위에 네 발을 각각 버티고 서 있다. 코끼리의 왼쪽 앞다리 안쪽에 “영평(Yongping) 왕조 4년 4월”이라 적힌 글로 동한시대의 두 번째 황제인 한명제 (漢明帝 r.58-75 CE) 때 만들어진 석상임을 알 수 있다. 가오휑 (高鳳)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코끼리와 연꽃은 불교와 관련된 형상들입니다. 석가모니부처님은 환생하기 전에 코끼리를 타고 있었다고 하고 환생하면서 연꽃 위에 오르셨다고 합니다.” (출처: chinatoday.com)
이와 같은 고대 유산을 되돌아보는 시점에서 연운항은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야심차게 추진하는 경제와 무역발전 계획인 일대일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항구이자 주요 요소가 되었다. 유라시아 주변국들과의 교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중국 중앙정부의 전략은 철도와 도로, 송유관, 해상 기반시설에 대한 막중한 투자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2020년까지 옛 실크로드에 인접한 여러 국가에 30개 이상의 문화센터들을 건설하기로 계획되어 있다.
시진핑 주석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옛 실크로드는 단지 무역의 연결통로 역할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우정의 길이기도 합니다.” (yibada.com)
실크로드는 중국 한대(BCE 207- CE 220)에 시작되었다. 무역 수익성이 높은 중국 실크에서 이름을 가져 왔는데 아시아에서 지중해까지의 상업과 문화교류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실크로드를 따라 이루어진 무역은 중국, 인도아대륙, 페르시아, 아프리카와 아랍의 문명발달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고 다양한 문화교류와 철학, 종교사상의 융합과 전파로 이어졌다. |END